본문 바로가기

게임/- PC

넥슨의 최고, 최악의 게임

 

개인적으로 게임의 시장이라는 것은 항상 진보적이고 진취적인 IT시스템을 가지고 운영되는 서비스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어느순간부터 게임시장 또한 때가 묻고 먼지가 묻으며 많이 퇴색되어 가는 느낌은 지울 수 없다

 

2000년 초반까지도 그랬지만 그 이후로는 현실적인 고민에 집착하게 된다

바로 '수익'이다

언제까지고 성장할거라 믿었던 게임시장 아니 IT시장 또한 정체기가 생긴다

 

게임과 같은 소프트웨어의 성장에 비교해 하드웨어의 발전은 상대적으로 느렸고

그로 인해 꾸준히 상향조정되던 그래픽의 성장과 3D 모델링의 발전은 크게 발전하는 순간이 멈추어버리게 된다

 

 

 

그렇게 정체기에 등장한 게임

그래픽을 포기하더라도 안정적인 동력원으로써 급진적인 방향전환에 성공한 게임이 나오게 된다

 

사실 시대의 과도기 기간에 등장한 게임이기에

탓만 할 수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이 게임이 등장했을 당시의 분위기를 본다면

그렇게까지 옹호론으로 일관해주고 싶지는 않다

 

 

 

메이플스토리는 그나마 어린이들을 위한 게임에 가까웠고 그래픽도 그렇다

물론 지금 시대(현재)에는 역시나 어른이들의 만족감에 들어 더 퇴화한 듯 보이지만

아무튼 그랬지만

 

가장 호의적인 게임으로 평가하지 않는 게임이 던전앤파이터다

처음에야 뭐 오락실 감성을 자극한다 어쩐자 했지만

개인적으로는 이런 횡스크롤 게임이 2천년대에 다시 등장하는 것에 대해서는 상당히 심각하게 봤다

 

 

 

간단한 조작으로 놀 수 있는 오락기 감성?

인정해줄 수 있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기술의 꺾임과 과한 그래픽으로 인한 장비의 고가화

뭐 그런 시대였으니까

 

하지만 이게 10년을 장수할만한 게임인가는 좀 생각해봐야 하고

무엇보다 이것을 즐기는 사람들이 이제는 고령화가 되어서 더 꼴불견이라는 점이다

사실 던파가 등장하면서 대학가에 퍼지면서 고학년은 '리니지' 중저학년부터는 던파에 빠지기 시작한 것이 참 이상한 분위기였다.

 

까보고 말하면 그런 시대였다

할 놀이라곤 술먹고 노는 것 아니면 그나마 명맥이 유지되던 당구같은 실전놀이

외에는 전부 피시방에 가는 일이었으니까

 

 

 

그런데 키보드라는 기기를 가지고 그저 방향키나 움직이며 2D캐릭터로 타격감을 느낀다고

키보드나 두들기고 앉아있는 유료학생 대학생의 그 실루엣이 상상이나 가냐는 말이지

 

너무 어울리지도 않고

너무 순수(?)해보이고

저런게 대학생이라고?

 

너무 이상한 시대였다

지금이야 컴퓨터가 더 많이 보급되고 다시 또 한번

그 시대(?)가 왔다

 

 

 

다시 한번 기술적인 혁신 이후

잠잠해지니 

기술의 정체기가 왔고

 

지금 사람들이 하고 있는 게임들을 보면

그나마 로스트아크와 같은 3D 게임이 자주 보인다만

 

사실 로스트아크와 같은 게임도 과거의 던파나 메이플보다야 나아보여서 그렇지. '로아' 역시 기술적 한계를 애매하게 빗겨 도망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어쨌든

IT게임들이 가면갈수록 성장하고는 있지만

가면갈수록 게임또한 고령화가 심해지는 분위기는 어쩔 수 없다

 

그것 뿐 아니라

게임 자체도 그에 맞춰서 투자를 하지 않고

현실에 안주하는 태도들이 더더욱 사업모델로 자리잡고 있는 것 같아 걱정이다

 

이제는 보드게임

카지노나 고급화 하는 시대가 되면 어떡하나

걱정해야 되는 시대일지도 모른다

 

728x90
728x90